도메인이 세계엔으로 통합되였습니다. segyen.co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월 1일 오전 8시 기준 국내 주요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의 24시간 거래대금은 8조 7,355억 원으로 전일 대비 2조 9,543억 원(51.1%) 증가했다. 거래 규모가 급증한 가운데 업비트가 5조 7,248억 원(65.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빗썸이 2조 8,691억 원(32.8%)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코인원은 1,085억 원(1.2%), 코빗은 331억 원을 기록했다.

 

15598235_1491040_180.jpg

 

 

암호화폐 시가총액 순위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이 2,949조 5,660억 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다. 이더리움이 579조 2,666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리플이 255조 3,441억 원으로 3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테더(203조 1,822억 원), 솔라나(163조 5,701억 원), 비앤비(140조 4,672억 원), 유에스디코인(77조 7,188억 원), 도지코인(70조 7,285억 원), 에이다(48조 2,804억 원), 트론(31조 8,900억 원) 순으로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이 자리했다.

코인힐스가 집계한 24시간 동안 국가통화별 비트코인 거래량을 보면 미국 달러가 8조 5,754억 원(85.66%)으로 가장 많았다. 일본 엔화가 6,033억 원(6.03%)으로 2위를 기록했고, 한국 원화가 4,894억 원(4.89%)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로(1,698억 원, 1.70%), 싱가포르 달러(318억 원, 0.32%) 순이었다.

 

1.jpg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 시세는 1월 31일 1억 5,676만 원으로 전일 대비 138만 원(0.87%) 하락했다. 최근 50일간 최고가는 1월 29일 기록한 1억 5,886만 원이며, 최저가는 12월 30일 1억 3,789만 원이었다. 지난 50일간 최저가 대비 13.7% 상승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이더리움은 505만 4,000원으로 전일 대비 15만 6,000원(3.18%) 상승했다. 최근 50일 중 최고가는 12월 16일 577만 4,000원이었으며, 최저가는 1월 13일 기록한 471만 7,000원이었다. 도지코인은 504.0원으로 전일 대비 3.4원(0.68%)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최근 50일 최저가인 12월 30일 466.8원과 비교하면 8.0% 상승했다.

 

2.jpg

 

반면 리플은 4,657.0원으로 전일 대비 64.0원(1.36%) 하락했다. 최근 50일 중 최고가는 1월 18일 기록한 4,865.0원이었고, 최저가는 12월 30일의 3,057.0원이었다. 최근 50일 최저가 대비 52.3% 상승했지만, 단기적으로는 매도 압력이 우세한 상황이다.

업비트 기준 최근 1주간 상승률이 높은 코인은 퀀텀(25.01%), 웜홀(12.83%), 모카버스(9.75%), 주피터(8.71%), 무브먼트(7.99%), 온도파이낸스(6.73%), 비토르토큰(6.5%), 맨틀(6.06%), 에이브(4.54%), 네오(4.2%) 등이었다. 최근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종목들이 등장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업비트에서 거래대금이 많은 코인 5종목을 살펴보면 비토르토큰이 6,08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8원(12.61%) 상승했고, 리플이 5,851억 원 거래되며 4,657원(-1.36%)을 기록했다. 버추얼프로토콜이 3,884억 원 거래되며 3,014원(12.72%) 상승했고, 모카버스는 3,579억 원 거래되며 303원(-3.35%)으로 마감됐다. 비트코인은 3,509억 원의 거래량과 함께 1억 5,674만 9,000원으로 0.88% 하락했다.

이어 6위부터 10위까지의 거래량을 살펴보면 퀀텀이 3,136억 원 거래되며 5,504원(26.62%) 급등했고, 이더리움은 3,101억 원 거래되며 504만 6,000원(3.02%) 상승했다. 테더는 3,069억 원 거래되며 1,533원(1.66%)을 기록했고, 애니메코인은 2,781억 원 거래되며 69원(0.20%) 올랐다. 도지코인은 2,034억 원 거래되며 503원(0.54%) 상승했다.

빗썸에서도 테더가 5,984억 원 거래되며 가장 활발한 거래량을 기록했고, 리플(1,588억 원, 4,659원), 블로서리(1,268억 원, 10원), 비트코인(1,180억 원, 1억 5,657만 7,000원), 버추얼 프로토콜(1,065억 원, 3,023원) 등이 상위 5개 종목으로 집계됐다.

이어 오닉스코인은 960억 원 거래되며 50원, 이더리움은 872억 원 거래되며 504만 9,000원, 도지코인은 568억 원 거래되며 504원, 크라토스는 531억 원 거래되며 0.44원, 오피셜 트럼프는 481억 원 거래되며 3만 6,800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비트코인은 조정세를 보였지만, 도지코인과 이더리움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거래대금이 전일 대비 급증하며 시장의 유동성이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으며, 일부 코인들은 단기 급등락을 거듭하며 변동성이 커졌다. 앞으로도 글로벌 거시경제 요인과 주요 암호화폐의 기술적 흐름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시점이다.

(톱스타뉴스)


  1. 세계 최대 비트코인 채굴풀 파운드리, 루트스탁 병합채굴 개시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루트스탁(Rootstock)은 공식 채널을 통해 "비트코인 채굴풀 파운드리(Foundry)가 루트스탁 병합채굴(merge mining)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병합채굴은 채굴자가 채굴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동일한 해싱 알고...
    Read More
  2. 미중 관세전쟁 우려 속 비트코인 9만 6000달러대 횡보
    미중 관세전쟁, 차르 언급 실망감에 하락후 횡보 국내는 1억5000만원대···가상자산 심리단계 '공포'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 우려 속 비트코인 가격이 횡보하고 있다. 7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Read More
  3. "한국에서 더 비싼 코인"…김치프리미엄 치솟은 이유는
    비트코인, 달러 시장에서 더 폭락 국내 투자자의 해외거래소 수요도 김프 부추겨 김프 변동성까지 더해진 국내 코인 시장 전문가들 "투자 신중할 시기" 트럼프발(發) 관세 쇼크 이후 가상자산 약세장이 펼쳐진 가운데 '김치프리미엄(김프)...
    Read More
  4. 하락세 보이는 비트코인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전광판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하락 전환하며 낙폭을 키우고 있다. 전날 1억6000만원대를 회복했다가 현재는 1억5300만원대까지 밀린 모습이다. 미중 관세전쟁이 재점화하면서 위...
    Read More
  5. 미중 관세 전쟁 우려에 비트코인 소폭 하락···9만 6000달러대
    미국,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했지만 중국 관세 유지 트럼프 정부 가상자산 책임자 기자회견 실망감도 반영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 우려에 비트코인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6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
    Read More
  6. 도지코인(DOGE) 시세 '3배 상승설' 왜?…과거 데이터 보니
    지코인(DOGE) 자료사진 도지코인(DOGE) 가격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 난항 속에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지코인 관련 시세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끈다. 해외 코인매체 코인게이프는 "가격 차트를 보면 변동이 있지만 전...
    Read More
  7. 6일, 금시세 및 가상화폐시세
    온라인에서는 금과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금 같은 경우, g당 15만원을 넘은 상황이며,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1BTC가 1억 5천만원을 훌쩍 넘긴 상황이기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금테크와 가상화폐를 25년 들어 다시 시작할려...
    Read More
  8. 미중 관세전쟁 우려에 비트코인 9만 7000달러대 하락
    캐나다·멕시코 관세 유예에 10만 달러 회복후 하락 가상자산 투자 심리는 '중간' 단계 기록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 우려에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다. 5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7분 기준 ...
    Read More
  9. "기관·큰손들 알트코인 거래량 급증…강세장 이어질까"
    트럼프 취임 후 가격 안정세 미국발 매수세 대거 유입 시장 장기적 상승세 기대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을 기점으로 큰 변동성을 보였던 암호화폐 시장은 점차 안정세를 되찾으며 추가 상승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시장에는 ...
    Read More
  10. 페페코인(PEPE) 시세 급락, 향방은?…향후 전망 주목, 개구리 튀는 방향은?
    페페 홈페이지 캡처. 페페코인(PEPE)이 4일 코인 시장에서 급락세를 보였다. 밈(Meme)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디지털 자산 페페코인은 한 때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페페는 개구리 밈 문화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중심의 참여를 이끌고 있다....
    Read More
  11.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에 비트코인, 10만 달러 회복
    미국,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연기 비트코인, 9만 2000달러대까지 하락한뒤 반등 미국이 멕시코에 이어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시행을 한달 간 유예하면서 비트코인이 다시 10만 달러대를 회복했다. 4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Read More
  12. 트럼프발 관세 전쟁, 가상화폐 회피 신호?… 비트코인 9만달러대 급락
    ⓒ연합뉴스 트럼트 대통령 입에서 시작된 관세 전쟁이 가상화폐를 회피하는 신호를 주는 모양새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9만달러대로 급락했고 XRP, 솔라나, 도지코인 등 알트코인도 10% 이상 큰 폭으로 내려앉았다. 2일(현지시간)...
    Read More
  13. 이더리움 20%·리플 23% '뚝'…"역시 비트코인" 점유율 4년 만에 최고치
    트럼프 관세 전쟁에 가상자산 시장 직격탄 비트코인도 10만달러→9만3000달러 '급락' ⓒ 뉴스1 비트코인(BTC)이 미국발 관세 전쟁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전날 대비 6% 이상 급락해 9만300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이더리움(ETH), 리플(XRP), ...
    Read More
  14. 비트코인 9만4천 달러 하회...XRP-도지 등 주요 알트코인 두 자릿수↓
    3일 오전 한때 9만2천796달러에 거래...전일대비 최대 8.1% 하락 비트코인이 크게 하락하며 3일 한때 9만3천 달러 선을 하회했다. 주요 알트코인는 전일대비 두 자릿수 넘는 하락세를 보이며 가상자산 시장에 긴장감이 고조된다. 글로벌 ...
    Read More
  15. 관세충격에 알트코인 폭락...비트코인 점유율 60% 돌파
    챗GPT 트럼프발 관세충격이 이어지면서 주요 가상자산이 이틀새 급락세를 이어갔다. 이더리움이 지난 1일 이후 최대 27.2% 폭락했고, 솔라나가 22.9%, 리플이 33.9% 급락했다.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 또한 400조원 가량 증발했다. 3일 코...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4 Next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