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해시레이트’ 성장세가 정체됨에 따라 소규모 가상화폐 채굴자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해시레이트’는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전체 네트워크에 참여한 연산력의 합으로 업계 업체 수익성을 개선하는 요소 중 하나다. 시장에서 ‘해시레이트’ 증가는 비트코인 시세 상승 동력으로도 인식된다.
사진=foto.wuestenigel
가상화폐 채굴 업계 분석 업체인 더마이너매그(TheMinerMag)에 따르면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올해 1월 감소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해시레이트’는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전체 네트워크에 참여한 연산력의 합이다.
시장에서 ‘해시레이트’ 증가는 시세 상승 동력으로 인식된다. 비트코인 채굴 비용은 ‘채굴 난이도’ 상승에 영향을 받는데, ‘채굴 난이도’는 연산 처리 능력인 ‘해시레이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해시레이트’가 상승해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가 증가하면 시장에 풀리는 생산단가도 올라가는 구조다.
지난 1월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2024년 9월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올해 1월 비트코인 채굴 업계 특징으로는 대형 업체의 ‘해시 파워’가 강해졌음에도 ‘해시레이트’는 감소한 것이 있었다. ‘해시 파워’는 비트코인을 채굴할 때 필요한 연산 문제를 계산해 내는 속도를 뜻한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성장세가 정체됨에 따라 소규모 가상화폐 채굴자들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전해진다(사진=코인데스크)
비트코인 채굴 대형 업체의 ‘해시 파워’가 강해졌음에도 ‘해시레이트’가 감소한 원인으로는 ‘소규모 사업자의 부진’이 조명됐다. 더마이너매그는 지난 1월 업계 대형 업체들의 ‘해시 파워’가 증가했음에도 소규모 채굴자의 실적이 과도하게 저조했기 때문에 ‘해시레이트’가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더마이너매그는 “대형 채굴 업체들이 ‘해시 파워’를 계속 늘렸음에도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지난 2024년 9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라며 “이는 대형 채굴 업체들의 ‘해리 파워’ 성장세가 소규모 사업자의 항복(지속 불가능한 상태)을 막아내기에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라고 부연했다.
다만, 대형 채굴 업체 간의 시장 경쟁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마이너매그는 업계 최상위권 업체인 마라톤디지털(Marathon Digital), 클린스파크(CleanSpark), 라이엇플랫폼스(Riot Platforms) 외 상위권 채굴사로 분류되는 코어사이언티픽(Core Scientific),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 비트팜스(Bitfarms)의 시장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더마이너매그애 따르면 업계 상위권 채굴사의 시장 경쟁은 치열해지고 다(사진=코인데스크)
상위권 업체인 코어사이언티픽, 사이퍼마이닝, 비트팜스와 중위권 채굴사의 격차는 시간 경과에 따라 커지는 중으로 파악되기도 했다.
더마이너매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달러(한화 약 1억 4,290만 원)에 육박하고 있지만 지난 2024년 채굴자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든 ‘반감기’ 이벤트 이후 업계 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라며 “다수의 비트코인 채굴 업체들은 이미 인공지능(AI) 및 고성능컴퓨팅(HPC) 분야에서 신규 먹거리를 모색하는 중이다”라고 부연했다.
비트코인은 2월 25일 오전 현재 빗썸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전일대비 0.86% 하락한 1억 3,704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경향게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