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이 세계엔으로 통합되였습니다. segyen.com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3월 23일 오전 7시 기준,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최근 24시간 기준 총 거래대금은 4조 6,17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일 대비 3,041억 원 증가한 수치로, 전체적으로 7.1% 상승한 흐름을 보였다. 거래소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업비트가 전체의 70.5%를 차지하며 3조 2,535억 원을 기록했고, 빗썸은 1조 2,937억 원으로 28.0%, 코인원은 625억 원으로 1.4%, 코빗은 77억 원의 거래대금을 나타냈다. 

 

10.jpg

 

시장 심리를 나타내는 두나무 UBCI 인덱스에 따르면 3월 23일 기준 공포탐욕지수는 41.53을 기록하며 중립 영역에 머물렀다. 이는 전일 대비 0.59포인트,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4.33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투자 심리의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가상자산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면, 비트코인이 2,443조 4,762억 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 이더리움(351조 4,379억 원), 테더(210조 2,793억 원), 리플 XRP(202조 473억 원), 비앤비(130조 9,836억 원), 솔라나(96조 2,240억 원), 유에스디코인(87조 3,740억 원), 도지코인(36조 5,443억 원), 에이다(36조 3,666억 원), 트론(33조 983억 원) 순이다.

국가통화별 비트코인 거래량 비중에서는 미국 달러가 전체의 94.06%를 차지하며 5조 7,638억 원어치를 기록했다. 일본 엔은 1,807억 원으로 2.95%, 한국 원화는 825억 원으로 1.35%, 유로화는 269억 원으로 0.44%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처럼 원화의 비중이 낮은 것은 국내 투자자들의 실질적 거래량이 글로벌 평균 대비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업비트 기준 주요 종목들의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2만 원 상승한 1억 2,451만 원으로 0.02%의 미미한 상승폭을 기록했다. 최근 50일간의 시세 흐름을 보면, 비트코인은 2월 3일 1억 5,822만 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3월 10일에는 1억 1,748만 원으로 저점을 찍었다. 이와 비교해 현재 시세는 약 6.0% 상승한 상태다. 이더리움의 경우 전일 대비 3만 6,000원 상승해 2,946,000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1.24%의 상승률에 해당한다. 이더리움 역시 50일 전 대비로는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3월 13일 최저가였던 2,762,000원 대비 상승 폭이 뚜렷하다.

 

11.jpg

 

도지코인 역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3월 22일 기준 도지코인 시세는 249.0원으로, 전일보다 1.1원 상승해 0.44%의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50일 저점이었던 3월 10일의 230.3원과 비교하면 8.1% 상승해 상대적으로 뚜렷한 회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리플 XRP의 경우는 소폭 하락세를 나타냈다. 같은 날 기준 3,518.0원에서 3,515.0원으로 10.0원 하락해 0.28% 내렸다. 리플 XRP는 2월 1일 4,500.0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조정을 받는 양상이며, 3월 10일 3,025.0원에서 현재까지는 16.3% 상승한 상태다. 단기적으로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기적으로는 저점 대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13.jpg

 

파이코인은 전일 대비 0.38% 하락한 1,456.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다만 변동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보합권 내 등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업비트 기준 최근 일주일간 상승률이 높은 종목을 보면, 제타체인이 49.74%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레이어제로(45.79%), 빔(36.85%), 펜들(29.21%), 타이코(28.59%), 아캄(23.73%), 봉크(18.28%), 이오스(16.81%), 빅타임(16.41%), 블라스트(14.2%)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종목은 대부분 디파이 또는 레이어 2 관련 프로젝트들로, 최근 시장의 관심이 기술 기반의 확장성과 수익모델 개선에 집중되고 있는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업비트에서 거래액이 많은 상위 5개 종목을 보면, 바운스토큰이 1조 1,893억 원으로 가장 큰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50,140원으로 나타났다. 단, 전일 대비 34.38% 급락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어 오르카가 5,913억 원 거래됐으며, 현재가는 4,265원으로 15.43% 하락했다. 리플 XRP는 2,746억 원 거래됐고, 시세는 3,515원으로 0.37% 하락했다. 반면 제타체인은 2,112억 원 거래에 452원(39.88% 상승), 레이어제로는 1,891억 원 거래에 4,881원(2.95% 상승)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거래량이 많은 종목은 솔레이어(1,757억 원, 1,648원, ▽6.47%), 바나(1,633억 원, 10,830원, ▽4.33%), 타이코(1,106억 원, 1,183원, △5.63%), 테더(723억 원, 1,482원, △0.10%), 비트코인(588억 원, 124,445,000원, ▽0.04%) 등이다. 거래량과 시세 변동을 함께 고려하면, 현재 시장은 특정 종목에 대한 쏠림 현상과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흐름이 병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빗썸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났다. 거래량 1위는 바운스토큰으로 1,560억 원어치 거래됐고, 현재가는 50,000원이다. 테더는 851억 원어치 거래되며 1,481원을 기록했고, 리플 XRP는 758억 원 거래되며 3,514원에 형성됐다. 에이피아이쓰리3는 300억 원, 밸러토큰은 290억 원어치 거래됐으며 각각 1,822원과 210원에 거래됐다. 뒤를 이어 제타체인(240억 원, 453원), 바나(216억 원, 10,810원), 어크로스 프로토콜(199억 원, 452원), 비트코인(197억 원, 124,446,000원), 솔레이어(192억 원, 1,643원) 순으로 거래됐다.

이처럼 3월 23일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거래대금이 증가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상승 분위기를 유지했지만, 종목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양상이다. 비트코인과 도지코인은 소폭 상승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고, 리플 XRP와 파이코인은 약세를 나타냈다. 다만 전반적인 거래량의 증가와 일부 알트코인의 급등세는 시장에 대한 관심과 유동성이 다시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톱스타뉴스)


  1. 트럼프 가족 가상화폐 플랫폼, 이번엔 스테이블 코인 출시
    트럼프 대통령 가족의 가상 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l)이 'USD1'이라는 이름의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하는 가상 화폐로, 주로 미국 달러나 ...
    Read More
  2. 트럼프家, 밈코인 이어 스테이블코인 출시…'이해상충' 논란 확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족의 가장자산 플랫폼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인 'USD1'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사진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족의 가장자산 플랫폼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
    Read More
  3. 美 코인데스크 "북한이 훔친 비트코인, 테슬라보다 많다"
    北 해킹조직 라자루스 통해 탈취 코인데스크는 북한이 최근 해킹을 통해 대량의 비트코인을 탈취했다고 보도했다. /더팩트 DB 북한이 보유한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수량이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보다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현지...
    Read More
  4. 트럼프 관세 완화에 비트코인 상승…8만 7000달러대 거래
    상호관세 면제 등 관세 정책 완화 시사 뉴욕증시도 상승···위험자산 선호 증가 가상자산 심리 단계는 '공포' 단계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 완화를 시사하면서 뉴욕증시와 함께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했다. 25일 글로벌 ...
    Read More
  5. 비트코인 1억2000만원선…엑스알피로 바뀐 리플 3500원선, 도지코인 269원선 거래
    비트코인/뉴시스 그래픽 25일 대표적인 암호화폐 비트코인이 1억2000만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25일 암호화폐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오전 8시11분 기준 비트코인은 전 거래일 대비 0.86%(111만1000원) 하락한 1억2862만9000원에 거래되고 ...
    Read More
  6. 파이코인(PI) 시세 1달러 난타전...스토어 595개
    i Network의 암호화폐인 파이코인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파이코인(PI)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22위에 랭크돼 있다. 아직 1달러에 도달은 하지 못한 상황이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이 힘을 내고 있는 것에 비하면 아직 움직...
    Read More
  7. "이더리움이 전부 사라졌다"…역사상 피해액 가장 큰 강도사건 배후는 北
    "북한 해커들이 가상자산 산업의 가장 큰 위협으로 부상했으며 김정은 정권의 주요 수익원이 되고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진단처럼 최근 몇 년간 북한 해킹 조직의 활동은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들의 공격은 단순...
    Read More
  8. 장마감 없는 비트코인, 한국 종가 기준은 '제각각'
    장마감 없는 가상자산 시장…거래소가 임의로 시간 정해 빗썸 '자정', 업비트·코인원 '오전 9시', 고팍스 '오후 11시' 코빗,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처럼 종가 없이 '24시간 전'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기사와 무관한 사진) 10일 서...
    Read More
  9. "北, 머스크의 테슬라보다 비트코인 많아…1조6700억 상당"
    코인 매체 코인데스크 분석 국가별로 따져도 세계 3위 비트코인. 게티이미지뱅크 북한이 보유 중인 비트코인 규모가 11억4,000만 달러(약 1조6,700억 원)에 달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상장사 가운데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Read More
  10. 비트코인 '초강대국 vs 금의 제국'…美·中 '쩐의 전쟁' 시작됐다
    사진 = 챗 GPT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비트코인 초강대국'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내비친 것과 대조적으로 중국은 가상자산(암호화폐) 단속을 강화하면서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행보를 보이면서 미국과 중국, 그리...
    Read More
  11. 지지부진한 비트코인, 8만 5000달러대 거래
    美 친가상자산정책에도 관세전쟁 등 우려 여전 지난주 급등 리플 상승···국내 1억2600만원대 '가상자산 공포·탐욕 지수'는 공포 단계 유지 비트코인 가격이 8만 5000달러대에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
    Read More
  12. 도지코인(DOGE) 시세 20달러 랠리 가능성은?…현실화 되려면
    도지코인 자료사진 도지코인(DOGE)이 최근 횡보중임에도 20달러설 랠리 전망이 나와 이목이 집중된다. 해외 코인매체 코인게이프는 "도지코인(DOGE)이 최근 조정을 거치며 횡보하고 있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가격이 20달러까지 상승할 가...
    Read More
  13. 비트코인 1억2555만 원대 상승, '큰손' 스트래티지 추가 매수 암시
    비트코인 시세가 1억2555만 원대에서 상승하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 ‘큰손’ 기업 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할 가능성이 제기돼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 가상화폐 시장 ‘큰손’ 기업 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
    Read More
  14. 코인 거래대금 5.8% 증가…비트코인·도지코인·리플 XRP 상승, 파이코인 하락
    3월 24일 오전 7시 기준, 코인마켓캡이 수집해 집계한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의 24시간 누적 거래대금은 총 4조 8,835억 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일 대비 2,660억 원 증가한 수치로, 약 5.8%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이 같은 거래...
    Read More
  15. "500% 상승하냐 반토막이냐" ... 도지코인 '전망' 에 쏠리는 관심
    국제뉴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