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게임사 암호화폐 자산가치 2907억원... 1년새 1680억원↑
넥슨, 비트코인 2391억원 '최대'... 위메이드·네오위즈도 적극 투자
게임사 5곳 지난해 비트코인·이더리움 보유수량 [표: 이호정 기자]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암호화폐)을 활발히 운용하며 자산가치 증가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주요 게임사의 지난해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넥슨, 위메이드, 네오위즈, 카카오게임즈, 넷마블 등 5개사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유 자산가치가 2024년 말 기준 총 약 2907억원에 달했다.
비트코인은 업비트 기준 2024년 1월 1일 5883만9000원에서 2024년 말 1억3925만7000원으로 136.7% 상승했으며, 이더리움은 같은 기간 313만6000원에서 497만8000원으로 58.7% 증가했다.
이에 따라 5개 게임사가 보유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자산가치는 2024년 초 약 1227억원에서 연말 약 2907억원으로 1년 사이 약 1680억원(136.9%) 증가했다. 이는 가상자산 가격 상승과 게임사들의 추가 매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넥슨은 2021년 4월에 매입한 1717개의 비트코인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당시 약 1억달러(약 1130억원)를 투자해 평균 단가 5만8226달러(약 6580만원)에 매입한 비트코인은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약 2391억원의 자산가치를 기록했다. 넥슨은 비트코인 매수 이후 '크립토원터'라 불리는 가상자산 시장 침체기에도 보유 전략을 고수했다.
위메이드는 2024년 사업보고서 기준 비트코인 223개, 이더리움 307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기초 비트코인 205개, 이더리움 267개에서 각각 18개, 41개 증가한 수치다. 위메이드는 이더리움의 경우 1개의 갯수 차이에 대해 소수점에 따른 차이라고 설명했다.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위메이드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자산가치 합계는 약 325억9000만원이다. 위메이드는 이 외에도 자체 발행한 위믹스(WEMIX$) 686만여개를 비롯해 USDT 539만여개, USDC 356만여개 등 다양한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USDT와 USDC는 각각 약 78억원, 52억원 상당의 자산가치를 갖는다.
네오위즈는 비트코인 94개, 이더리움 547개를 보유하고 있다. 회사 측은 네오위즈와 연결 자회사들의 합산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비트코인 자산가치는 약 130억9000만원, 이더리움 자산가치는 약 27억2000만원으로 총 약 158억1000만원이다. 네오위즈는 2024년 중 비트코인 14개를 취득하고 22개를 처분했으며, 이더리움은 322개를 취득하고 339개를 처분했다. 네오위즈는 또한 USDC 158만7296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4년 말 시세 기준 약 23억원 상당의 자산가치를 갖는다.
카카오게임즈는 2024년 기준 비트코인 9개, 이더리움 11개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비트코인 자산가치는 약 12억5000만원, 이더리움 자산가치는 약 5000만원으로 총 약 13억원이다. 카카오게임즈는 2024년 중 비트코인 5개를 취득하고 10개를 처분했으며, 이더리움은 22개를 취득하고 78개를 처분했다. 블록체인 게임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메타보라를 통해 보라(BORA) 2억6500만여개, 카이아(KAIA) 3590만여개도 보유하고 있다.
넷마블은 2024년 말 기준 비트코인 8.29개, 이더리움 147.49개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중 비트코인 8.08개, 이더리움 147.49개를 신규 취득했다. 2024년 말 시세 기준으로 비트코인 자산가치는 약 11억5000만원, 이더리움 자산가치는 약 7억3000만원으로 총 약 18억8000만원이다.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과 관련 규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지만, 게임사들의 가상자산 투자는 규제 환경 변화와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성장에 따라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게임사들은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과 블록체인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가상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P2E(Play to Earn) 게임과 대체불가토큰(NFT) 아이템 거래 등이 게임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주요 게임사들의 가상자산 투자 행보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은 단순 투자 자산을 넘어 게임 생태계 확장의 핵심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특히 게임사들이 보유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자산가치 상승은 블록체인 게임 사업 확장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투데이 ]